생각의 웹입니다.


벌써 한 해의 마지막 날이 되었습니다. 

마지막이라는 생각이 드니 미뤄두었던 일들을 서둘러 마무리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어 

최근 알게 된 웹 API 시작부터 끝까지 라는 주제의 읽어 볼만한 좋은 포스팅을 공유합니다.


 그 시작으로

Matt McLarty의 비즈니스 관점에서의 웹 API

라는 포스팅을 간략하게 한글로 요약합니다. 



  • 내부 데이터의 가용성 수준 평가 척도
    1. 데이터 적용 가능성
      • 이 데이터가 핵심 비즈니스 목표를 추구하는데 도움이 될 것인가?
      • 이 데이터가 비즈니스를 차별화 해주는가?
      • 이 데이터를 공개해서 상품화할 예정인가?
    2. 데이터 정확성
      • 이 데이터는 현재 어떻게 제공되고 있는가?
      • 이 데이터가 권위있는 출처에서 오는 것인가?
      • 올바른 목적으로 올바른 사용자가 사용하는 데이터인가?
    3. 데이터 접근성
      • 프로그래밍하기 위해 어떤 데이터가 적합한가?
      • 이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한 다른 방법은 무엇인가?
      • 개발자들이 이 데이터를 이용하는 앱들을 만들기에 얼마나 쉬운가?
      • 많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수용할 만큼 데이터 처리 용량을 늘릴 수 있는가?
  • 평가 결과에 따라 두 종류의 API가 존재
    1. 유용한 API
      • 정확하고 응용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
        • “medium is the message” thinking fails - APIs and Open Data만으로는 충분치 않다.
        • right data through right APIs - brings desired revenue and innovation benefits
        • 사례
          • Google Maps
          • SNS (Twitter, Facebook, ...) API - 선거 유세에도 영향을 미칠 정도로 영향력이 커짐
          • 아마존 사례
            1. 제품과 솔루션 공급을 API를 통해 할 수 있게 함
            2. 가치있는 데이터를 수집, 분석, 개선, 배포하는 API 기반 접근을 수행함
              • CEO 제프 베조스 曰 우리는 물건을 팔 때 돈을 버는 것이 아니라 고객들로 하여금 구매를 결정할 수 있게해서 돈을 법니다. (“We don’t make money when we sell things. We make money when we help customers make purchase decisions.” - Jeff Bezos )
              • Envision -> Focus -> Disrupt -> Iterate -> Persist -> Broaden -> Envision -> ...
            3. 전략적인 포지셔닝과 전술적인 공급 간의 균형을 유지하는 단련된 방식이 존재
          1. 지속적으로 응용 가능한 데이터를 수집
          2. API를 데이터에 대한 보편적 접근 법으로 이용
          3. 단기적으로 필요한 것 뿐 아니라 장기적으로 명확히 필요한 것을 제공
          4. 강점(position of strength)에서 부터 확장하라
    2. 가용한 데이터
      •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
      • 엔터프라이즈 앱 개발의 패러다임 변화
        • n-tiered web model to API centered topology
        • Java EE to JavaScript
      • Twilio 사례
        • 임의의 통신사의 SMS 이나 VOIP를 사용할 수 있는 API를 개발자에게 제공하여 수익 창출
      • Ingenie 사례
        • 16~25세의 고객이 보유한 스마트폰을 통해 수집한 운전 데이터로 자동차 보험 요금을 줄여주는 서비스 제공
      • API 설계의 중요성이 부각
        • 새로운 개발자들에게 API 사용성 증대를 통해 API 사용을 촉진할 필요성 대두
  • 요약
    1. 비즈니스 전략에 맞춰 API를 정비하라
    2. API를 통해 접근 가능하고 정확하고 응용가능한 데이터를 제공하라
    3. API가 유용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라
    4. 아마존처럼 데이터를 통해 가능한 분열(Data-Enabled Disruption)이 반복되는 문화를 수립하라
    5. Twilio 처럼 비즈니스를 다른 대형 경쟁사들과 차별화하는 API 개발자 경험을 만들라



모든 것이 연결되는 초연결 사회로 향해 가는 시점에서 

웹 API를 통한 메시업(mesh-up)를 비즈니스 시작부터 염두해 두지 않고는 더 이상 지속적으로 경쟁력 있는 서비스를 

도출할 수 없는 시대가 되고 있습니다.


올바른 이해를 기반한 전략 수립과 기민한 실천으로 미래 사회의 개척자가 되길 희망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생각의 웹입니다.


오늘은 REST API에 대해 검색하다가 우연히 발견한 좋은 포스팅이 있어 기록 겸해서 이렇게 링크를 공유합니다.


1. 개념 소개

2. API 설계 가이드

3. API 보안


방대한 내용을 이렇게 잘 정리해 주셔서 덕분에 더 많은 것을 배웠습니다.

특히 API 보안에 관한 부분은 기존 Web Service 1.0 (SOAP)에 비해 취약하다는 논란이 있어서 좀 더 공부해 봐야 겠다는 찰나에 좋은 글을 만나게 되었습니다.


열린 마음으로 좋은 내용들을 공유해 주시는 고수님들을 본받아 저도 열심히 수련하고 잘 나눠야 겠다는 마음을 품습니다.

 

감사합니다.

행복한 하루 되시길!

"생각의 웹"입니다.


구글에서 Open API 설계를 담당하고 있는 샘 고토의 블로그 중 소개하고 싶은 포스트가 있어 아래와 같이 번역하여 공유합니다. 이 연구의 결과가 기계와 사람 간에 스마트한 웹 세상을 만들어 내고 IoT가 꿈꾸는 스마트한 세상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합니다. 


의역으로 인해 오역의 가능성이 있으니 더 많은 내용이 궁금하시면 아래 원문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http://blog.sgo.to/2014/02/rows.html


리소스 지향 웹 서비스 (ROWS)

리소스 지향 웹 서비스 (ROWS)란 리소스들에 대한 프로그램적인 검색, 기술(description) 그리고 호출이 자동으로 수행 되도록 하는 일련의 기술입니다.


이는 휴먼 웹과 프로그래머블 웹을 연결해 주고 웹이 어떻게 동작하는지에  - URL들과 REST라는 일관된(Uniform) 인터페이스. 여기서 URL의 R이 핵심 영역입니다.-  보다 적합하게 설계된 서비스 지향 아키텍쳐의 대안 중 하나입니다.  


이 포스트는 연재 글 중에 하나이며 읽기 전에 이 과 이 을 읽어 보길 권합니다.


이 글은 이 기술 명세를 보다 읽기 쉽도록 하기 위해 쓰였습니다. 


우리가 다시 풀고자 하는 문제는?

우리의 목표는 "휴먼 웹"과 "프로그래머블 웹"을 연결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현재 우리가 현재 수작업으로 하고 있는 것들을 자동화하는 것에 도전하고자 합니다.

우리는 아직까지 다음 기술들을 도출하지 못했습니다:

  1. 각각 별개의 서비스에 대한 리소스 설계, 표현(representation) 포맷 그리고 리소스 간의 링크를 클라이언트에게 알려줄 수 있는 보편적인 프레임 워크

  2. RESTful 과 하이브리드 서비스들의 다양성을 기술할 수 있는 어휘를 가진 언어. 이 언어로 작성된 문서는 보편적인(generic) 웹 서비스 클라이언트 코드를 커스텀하게 작성된 포장개체(wrapper)처럼 동작하도록 생성할 수 있습니다. 보다 자세하게 말하면 우리는 클라이언트에게 다음과 같은 것들을 알려주어야 합니다:

    • 수행 가능한 동작의 의미(semantic)가 존재하는가?

    • 어떤 HTTP 메소드(method)가 사용되는가?

    • 요청의 형식(entity-body)는 어떻게 구성되었는가?

    • 호출 후 응답되기를 기대하는 것은 무엇인가?

어떻게 시작하는지부터 살펴보자

휴먼 웹은 브라우저를 이용해 URL이라는 리소스를 GET 요청함으로써 시작됩니다. 만일 콜 택시를 요청하기 위해서 필요한 사례를 들어 설명해보죠. 
아래는 브라우저 내부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을 보여 줍니다.

GET /mountain-view HTTP/1.1
Host: www.yellowcab.com 

그러면 서버가 다음과 같이 응답하도록 구현할 수 있습니다:


HTTP/1.1 200 OK
Content-Type: text/html 

  1. <html>
  2. <body>
  3.  
  4. <span>Welcome to Yellow Cab Mountain View!</span>
  5.  
  6. <a href="/moutain-view/reservations">
  7. Click here to book a cab!
  8. </a>
  9.  
  10. </body>
  11. </html>

지금 정도로도 사람에겐 충분한 정보겠지만 컴퓨터가 이 웹 페이지 내용과 개구리에 관련된 웹 페이지와의 구분할 수 없습니다.


JSON-LD, microdata와 Schema.Org 삽입하기

컴퓨터가 이 페이지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첫번째 과정은 이 페이지가 무엇인지에 대해 명확히 알려 주는 겁니다.


HTML 내에서 연결 데이터(linked-data)를 전송하기 위한 몇 가지 방안이 있는데 제가 선호하는 방식은 JSON-LD와 microdata*입니다.


* 제 생각엔 JSON-LD가 대용량의 복잡한 사례들에 대응하기 위한 보다 확장성 있는 방식이라고 보는 반면 microdata는 예제가 쉬워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전 여기에서는 microdata를 사용할거지만 실제로는 JSON-LD를 훨씬 선호한다는 사실을 알아주셨으면 합니다.


안타깝게도 microdata나 JSON-LD 만으로는 충분치 않습니다. 택시 정거장에 대한 컴퓨터 처리가 가능한 기술이 필요하기 때문이죠.  이것을 schema.org에서 가져올 수 있습니다: shema.org는 세상에서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사물을 기술하는 어휘들을 제공하는 사이트입니다.


아래는 이 웹 페이지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HTTP/1.1 200 OK
Content-Type: text/html
  1. <html>
  2. <body itemscope
  3. itemid="/mountain-view"
  4. itemtype="http://schema.org/TaxiStand" >
  5.  
  6. <span itemprop="description">
  7. Welcome to Yellow Cab Mountain View!
  8. </span>
  9.  
  10. <a itemprop="reservations"
  11. href="/mountain-view/reservations"
  12. itemscope itemtype="http://schema.org/ItemList">
  13. Click here to book a cab!
  14. </a>
  15.  
  16. </body>
  17. </html>

이제 제가 서두에서 필요로 하다고 제시한 기술들을 리마인드 해보죠. 이 JSON-LD / micro-data + schema.org 를 통해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사물을 기술하기 위한 보편적인 프레임워크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그 결과 컴퓨터는 이제 다음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이 리소스는 TaxiStand (택시 승차장) 입니다.
  • 이 택시 승차장은 기술(description)을 가지고 있습니다.
  • 이 택시 승차장은 예약 아이템 리스트 (ItemList of reservations)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으로 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합니다.

프로그래머블 웹으로의 연결

API에 존재하는 프로그래머블 웹을 컴퓨터가 발견하도록 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이 특정 택시 승차장을 택시 (yellow cab) API에서 찾을 수 있도록 링크를 추가해 보겠습니다:

  1. <body itemscope
  2. itemid="/mountain-view"
  3. itemtype="http://schema.org/TaxiStand" >
  4. <meta itemprop="alternate" itemscope
  5. itemtype="http://schema.org/ApiUrl"
  6. content="http://api.yellowcab.com/moutain-view"/>


이로서 이 택시 서비스가 특정 API에 연결되어 있음을 컴퓨터가 알 수 있게 되었습니다.
만일 저 URL에 GET 요청을 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일이 일어나게 됩니다:

GET /mountain-view HTTP/1.1
Host: api.yellowcab.com

그리고 서버는 다음과 같이 응답합니다:


HTTP/1.1 200 OK
Content-Type: application/json+ld
  1. {
  2. "@context": "http://schema.org",
  3. "@type": "TaxiStand",
  4. "@id": "/mountain-view",
  5. "description": "Welcome to Yellow Cab!",
  6. "reservations": {
  7. "@type": "ItemList",
  8. "@id": "/mountain-view/reservations",
  9. }
  10. }

이 응답은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형식에 훨씬 가깝습니다. 

Content-Type 헤더가 있어 컴퓨터가 어떻게 이것을 분석(parse)할 수 있는지 알려주고 또한 내부의 하이퍼미디어가 이 리소스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정보 (machine-readable information)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컴퓨터가 이 리소스들로 무엇을 할 수 있을지 알려 줄수도 있을까요?


만일 예약을 하고 싶다면 HTTP로 어떻게 해야 하지?

HTTP에서 API 검색 기법에 가장 가까운 방식은 OPTIONS 요청을 보내는 것입니다.


OPTIONS /mountain-view/reservations HTTP/1.1
Host: api.yellowcab.com

그러면 다음과 같이 응답할 수 있겠죠:

HTTP/1.1 200 OK
Allow: OPTIONS, GET, HEAD, POST

POST 요청은 많은 일들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기에 "RESTful Web API"의 저자들 (리처드슨, 샘 그리고 마이크, 이후 LSM으로 명기)이 앞서 지적했던 것처럼 이로써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어떻게 이런 것들을 알 수 있을까요:

  1. POST 요청의 내용(entity-body)은 무엇을 채워야 하는가?
  2. POST 요청이 중첩된 POST 요청(예를 들어 RPC-형태의 POST)인지을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

액션 (Actions)를 추가하기

액션은 리소스로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알려주는 어휘입니다. 이것은 추가 요청을 하는 것이 아닌 리소스에 추가 삽입(attached inline)하는 형태입니다.

이것은 중요한 세 가지의 기법으로 구성됩니다:
  1. 사물에 액션을 연결하는 기법

  2. 액션을 분류하고 요청을 강제하기 위한 잘 정의된 의미(semantics)

  3. 매개 변수가 어떻게 생겼는지를 기술하는 어휘
JSON-LD 응답이 어떻게 생겼는지 보시죠:


HTTP/1.1 200 OK
Content-Type: application/json+ld
  1. {
  2. "@context": "http://schema.org",
  3. "@type": "TaxiStand",
  4. "@id": "/mountain-view",
  5. "description": "Welcome to Yellow Cab!",
  6. "reservations": {
  7. "@type": "ItemList",
  8. "@id": "/mountain-view/reservations",
  9. "operation": {
  10. "@type": "CreateAction",
  11. "expects": {
  12. "@type": "SupportedClass",
  13. "subClassOf": "http://schema.org/TaxiReservation",
  14. }
  15. }
  16. }
  17. }

이 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HTML 마크업에서도 찾을 수 있습니다:

  1. <a itemprop="reservations"
  2. href="/mountain-view/reservations"
  3. itemscope itemtype="http://schema.org/ItemList">
  4. <meta itemprop="alternate" itemscope
  5. itemtype="http://schema.org/ApiAppUrl"
  6. content="http://api.yellowcab.com/moutain-view/reservations" />
  7. <div itemprop="operation" itemscope
  8. itemtype="http://schema.org/CreateAction"/>
  9. <meta itemprop="expects" itemscope
  10. itemtype="http://schema.org/SupportedClass"
  11. content="http://schema.org/TaxiReservation"/>
  12. </div>
  13. </div>
  14. Click here to book a cab!
  15. </a>
* 이 형태가 꽤나 복잡해 보인다는 점 인정합니다만 이후에 이걸 더 요약하는 법 또한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힌트는 링크드 데이터와 연관되어 있습니다.

이제 컴퓨터가 이해하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을 알려줄 수 있습니다:

  • 이것은 택시 승차장입니다.
  • 여기에 API 시작 위치가 있습니다. http://api.yellowcab.com/moutain-view/
  • 이 택시 승차장은 예약 아이템 리스트를 가지고 있습니다.
  • 이 예약 아이템 리스트에는 *매우* 상세한 의미(semantics)를 갖는 - 이 요청이 갖는 의미 뿐 아니라 세부 상세 내용까지 포함된 - 액션 생성(CreateAction)이라는 동작을 갖습니다. 예를 들어 이렇게 정의된 동작은 엄격한 POST 요청이 되겠지요.
  • 예약을 하기 위해서는 택시 예약 객체(TaxiReservation)를 전달합니다.
즉, 이 정보를 통해 컴퓨터는 다음과 같은 요청을 보낼 수 있게 됩니다:

POST /mountain-view/reservations HTTP/1.1
Host: api.yellowcab.com
Content-Type:application/json+d;charset=utf-8
Content-Length:207
  1. {
  2. "@context": "http://schema.org/",
  3. "@type": "TaxiReservation",
  4. "pickUpLocation":
  5. "1600 Amphitheatre Parkway, Mountain View, CA",
  6. "pickUpTime": "2pm",
  7. "numberOfPassengers": "1"
  8. }

그러면 서버는 다음과 같이 응답을 하게 되겠지요:

HTTP/1.1 201 Created
Location:
http://api.yellowcab.com/moutain-view/reservations/32523325225


이렇게 다시 하이퍼 미디어가 도래합니다.

하이퍼미디어는 정말 엄청나게 위력있는 개념입니다. 이 개념을 통해 하나의 리소스에서 다음 리소스 링크로 이동할 수 있게 됩니다. 정말 대단한 거죠.

방금 하나의 리소스를 생성했다면 이걸로 해볼 수 있는 최선을 한번 고려해 봅시다:

OPTIONS /mountain-view/reservations/32523325225 HTTP/1.1
Host: api.yellowcab.com


그럼 서버는 이렇게 응답할 수 있겠죠:

HTTP/1.1 200 OK
Allow: OPTIONS, GET, HEAD, PATCH
Accept-Patch: application/json+ld

이 응답의 PATCH HTTP 메소드로 인해 이 리소소는 변경되기 쉬운 (mutable) 리소스라는 걸 알 수 있다는 것이 꽤 흥미로운 점이죠. 또한 이 리소스는 추가로 JSON-LD 패치 문서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 주기때문에 이 역시 꽤 유익한 정보가 될 겁니다.


그러나, POST 요청이 그렇듯 PATCH 동작의 어플리케이션 의미(semantics)가 무엇인지
 충분히 알 수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패치"가 pick up 시간을 업데이트하는 것인지 아니면
location을 전달(drop off) 하는지 말이죠.


액션으로 되돌아 가보죠. 이 리소스를 GET 요청합시다:


GET /mountain-view/reservations/32523325225 HTTP/1.1
Host: api.yellowcab.com

그러면 서버는 이렇게 응답해 줄 수 있습니다:

HTTP/1.1 200 OK
Content-Type: application/json+ld
Accept: application/json+ld
  1. {
  2. "@context": "http://schema.org",
  3. "@type": "TaxiReservation",
  4. "@id": "/mountain-view/reservations/32523325225",
  5. "reservationStatus": "CONFIRMED",
  6. "operation": {
  7. "@type": "CancelAction"
  8. }
  9. }

여기에 취소(CancelAction) - "미래의 사건이나 행위가 더 이상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행위" - 라는 매우 명확한 어플리케이션 의미를 가지고 있고 이 리소스를 "취소" 하는 의미가 매우 명확히 정의(HTTP 용어에서는 "취소"의 정의에 관련된 것은 PATCH 요청입니다.)되어 있으며 따라서 컴퓨터는 다음과 같이 PATCH 요청을 보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PATCH /mountain-view/reservations/32523325225 HTTP/1.1
Host: api.yellowcab.com
Content-Type:application/json+d;charset=utf-8
Content-Length:100
Accept: application/json+ld

  1. {
  2. "@context": "http://schema.org/",
  3. "@type": "CancelAction"
  4. }

이제 취소된 예약 상태를 알 수 있습니다:


HTTP/1.1 200 OK
Content-Type: application/json+ld

  1. {
  2. "@context": "http://schema.org",
  3. "@type": "TaxiReservation",
  4. "@id": "/mountain-view/reservations/32523325225",
  5. "reservationStatus": "CANCELLED",
  6. }

마지막으로 덧붙이면 취소를 완료하게 되면 취소된 예약에는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취소" 요청의 내용은 사라지게 됩니다.


남은 숙제들...

"악마는 디테일에 있다"는 말처럼 아직 모음(collections), 인증(authentication), 상이한 전송 기법 - 예를 들면 모바일 앱, 이메일 메세지 - 등이 어떻게 되어야 하는지는 숙제로 남겨져 있습니다. 이 하나 하나 모두 풀기에 매우 까다로운 것들이기 때문이죠.


추후 올릴 포스팅에도 계속적으로 관심 가져 주시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웹 서비스가 스스로 새로운 웹서비스를 만들어가는 스마트한 IoT 세상을 꿈꾸는 "생각의 웹"입니다.


웹 세상에서 REST API가 Open API의 대세로 자리 매김한지도 꽤 시간이 지났음에도

진정 RESTful API를 설계하는 일이 여전히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전에 포스트에서 REST API의 성숙도를 표현하는 리처드슨의 성숙도 모델이 있다는 것 소개드린 바 있습니다.


http://webofthink.tistory.com/2


이번 포스트에서는 REST API의 대가인 리처드슨, 아문센 그리고 샘 루비가 오레일리 출판사를 통해 작년 말에 내 놓은 RESTful Web API에서 발췌한 REST API를 설계하는 절차를 소개하려 합니다.


먼저, 발췌한 해당 내용의 스크린 샷을 이미지 슬라이드로 보여 드리죠.


012345678910111213


책에서는 API를 설계하는 서로다른 두 가지 절차를 소개합니다. 첫번째는 두 단계로 이뤄진 요약이고 두 번째는 일곱 단계로 이뤄진 상세한 내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자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HTTP 요청에 대한 응답 body에 표현 (representation)으로 사용할 미디어 형태 (media type)을 선택한다. 이 선택으로 말미암아 프로토콜 의미 (protocol semantics) - HTTP 프로토콜 하에서 API의 동작 - 와 어플리케이션 의미 (application semantics) - 표현으로 참조할 수 있는 실제 세계의 사물 -  에 제약을 받게 된다.

  2. 나머지 모든 것을 대응할 수 있는 프로파일 (profile)을 작성한다.

REST API에 대해 설계한 경험이 없다면 이 두 단계로 함축한 것으로는 이해하기가 어려울 것으로 사료됩니다. 이 책을 읽고 포스트를 작성하는 저 스스로도 잘 와닿지 않기 때문입니다. ^^;

이번에는 좀 더 상세한 단계를 설명해 주고 있는 후자에 대해서 살펴 보시죠.

  1.  클라이언트(client) - REST API를 호출할 웹 앱 - 이 알아야 하거나 API에 담고자 하는 모든 정보를 나열한다. 이 정보가 추후 의미 기술 (semantic descriptors)이 되며 계층적 구조를 갖게 됩니다. 예를 들어 '사람'과 같은 오브젝트는 보다 추상적인 '성'과 같은 상세 정보를 갖게 되는데 이런 정보 간 계층이 직관적으로 묶일 수 있도록 합니다. 

  2. API를 위한 상태 전이도 (state diagram)를 그립니다. 이 도식에서 칸은 하나의 표현 - 의미 기술의 일부를 함께 묶은 문서 - 을 나타냅니다. 클라이언트가 이런 표현들을 자연스럽게 찾을 수 있도록 화살표를 이용해 표시합니다. 이 화살표는 HTTP 요청에 따른 상태 전이 (state transitions)이 됩니다.

  3. 의미 기술에 사용한 임의의 용어 (magic strings)를 기존 프로파일(profile)에 존재하는 용어로 대체합니다. 이때 사용한 모든 단어와 두번째 단계에서 그린 상태 전이도에 모두 적용될 때까지 반복합니다.

  4. 프로토콜 의미와 어플리케이션 의미에 부합하는 (compatible) 미디어 형식 (media type)을 선정하거나 필요할 경우 새로 만듭니다. 운이 좋다면 기 정의된 미디어 형식으로 어플리케이션 의미의 상당 부분을 대응할 수 있으며 이때 세 번째 단계로 되돌아 가서 미디어 형식의 용어가 대응하는지 다시 살펴봅니다.

  5. 어플리케이션 의미를 기술하는 프로파일을 작성합니다. 이 프로파일에는 당신만의 용어 (magic string), IANA에 등록된 링크 관계가 아닌 링크 관계들과 미디어 형식에 의해 기술된 용어를 담고 있어야 합니다.

  6.  세번째 단계에서 도출한 상태 전이도를 HTTP 서버로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작성합니다. 클라이언트는 특정 HTTP 요청으로 상태를 전이시키게 되고 그 결과로 응답을 전송받게 됩니다. 이 응답의 표현에는 4번째 단계에서 정의한 미디어 형식과 5번째 단계에서 정의한 프로파일에 대한 링크가 포함되어야 합니다. 

  7.  API를 사용하기 위한 접속 주소가 되는 빌보드 URL를 제공합니다. 또한 개발자를 위한 API 문서, 튜토리얼 및 예제 클라이언트 코드를 제공할 수도 있습니다.

API를 설계하는 일은 사용자를 고려한 UX를 설계하는 일처럼 어려운 일입니다. 특히, API를 사용하는 주체가 사람 뿐 아니라 기계일 경우는 더욱 그렇습니다.

프로그래머블 웹이 현실이 되고 인터넷에 연결된 IoT 기기가 시장에 본격적으로 등장하면서 진정 스마트한 기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스마트한 API를 만들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합니다.

이 설계 방법이 스마트한 웹 세계를 만들 것이라 기대해 봅니다.
감사합니다. 




WS-REST 2014 워크숍이 끝난지도 벌써 두 달여의 시간이 지난 이제서야 용기를 내어 글을 써내려가기 시작하네요. -_-;;;


서두에 이번 워크샵을 한줄로 평가하면   

내 생애 최초로 논문을 발표한 워크숍이라서 매우 설레였고 

배경 지식 및 어학 역량이 부족해 이해하지 못한 부분이 많았으나 전 세계의 전문가들의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면서 토론하는 모습에 매료되었다.

라고 요약할 수 있겠네요.


프로그램의 내용은 다음 링크를 참조하시고 발표 및 논의된 내용은 이어 간략하게 정리하겠습니다. 


http://ws-rest.org/2014/program


  1. Keynote
    • Google의 Sam Goto 가 발표를 진행했으며 Google에서 웹 서비스와 관련 API를 만들며 경험한 사례들과 REST Web API의 발전 과정을 매우 재미있고 역동적으로 소개
  2. '코를 막기' 대 '후각으로 따라가기'
    • REST API의 최근 서적인 'RESTful Web API'의 저자 중 한명인 마이크 아문센이 디즈니의 애니메이션 '업'에 등장하는 개를 빗대어 웹 상에서 서비스를 기술하는 방식 (service description)에 대한 올바른 접근 방법을 소개함.
  3. 프로비넌스(provenance)를 이용해 시간 대 별 Web API로 data를 publish 하기
    • 데이타 프로비넌스를 이용해 Web API의 형상을 관리하는 REST API와 이를 이용하여 Web API 변경에도 대응이 가능한 시스템 개발
  4. 클라이언트 개발 효율화를 위한 REST API를 JavaScript API로 설계하기 
    • 제가 제출한 논문으로 REST API와 JavaScript API를 맵핑해서 설계하는 디자인 패턴과 REST API 대신 JavaScript API를 제공하여 개발한 사례를 소개 
  5. 웹 암호화 API
    • W3C에서 복잡하고 다양한 암호화 기법을 추상화한 JavaScript API를 표준화 한 사례를 소개함.
  6. 동적 스트리밍 토폴로지를 제어하는 REST API
    • 스트리밍 트래픽에 따라 동적으로 토폴로지를 구성할 수 있도록 설계한 REST API를 소개 함. 
  7. 트랜젝션을 분산 처리하는 REST API
    • 이 커머스와 같이 트랜젝션이 필요한 서비스에서 REST API 형태로 이를 처리할 수 있는 디자인 패턴 소개 
  8. REST 설계 원칙을 따르는 트랜젝션 모델의 7대 도전 과제
    •  REST API와 기존 트랜젝션과의 상이 점과 이를 상쇄하기 위한 여러 기술적 접근법을 소개
  9. 실제 제품에 탑재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든 코드 자동 생성 API 클라이언트 
    • REST API의 self-descriptiveness를 기반으로 API에서 클라이언트 코드가 자동 생성되도록 상용 수준으로 적용한 사례 소개
  10. 웹 상에서 RESTful linked service 를 연결하는 접근법
  11. IoT를 위한 COMPOSE API
    • 단말 디바이스 간 서비스를 조합 가능하도록 설계한 REST API 소개  

이해 부족 혹은 지나치게 요약하느라 내용이 잘못 전달될 수도 있으니 자세한 내용은 원문 링크의 논문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Agile world에서 이름 높은 Martin Fowler 아저씨가  REST API의 수준을 단계 별로 표현한 Richardson Maturity Model 을 설명하는 포스팅을 올렸네요.

리처드슨 REST 성숙도 모델에 따르면, REST API는 다음과 같은 성숙도를 갖게 됩니다.

  • Level 0 ,< The Swarm of POX: RPC (Remote Procedure Call) 형태로 resource 구분 없이 설계된 HTTP API
  • Level 1, Resources: resource 형태로 구분되어 있으나 action을 HTTP command로 CRUD (Create, Read, Update, Delete)로 표현하지 않은 HTTP API
  • Level 2, HTTP Verbs: resource 형태로 구분된 URI와 HTTP command로 CRUD 하나 self-descriptive hypermedia type를 가지지 않는 HTTP API
  • Level 3, Hypermedia Controls: response payload 에 관련 URI를 포함하는 hypermedia[각주:1] 로써의 속성을 지님으로써 code on demand[각주:2] 속성을 지원할 수 있는 완전한 REST API 

이런 성숙도 모델을 이해함으로써 REST API의 설계 수준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리라 믿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국문 번역 포스팅이나 원문을 참고하세요.



-  국문 지앤선 블로그 : http://jinson.tistory.com/190

- 원문 : http://martinfowler.com/articles/richardsonMaturityModel.html


  1. http://en.wikipedia.org/wiki/HATEOAS [본문으로]
  2. http://www.ics.uci.edu/~fielding/pubs/dissertation/rest_arch_style.htm#sec_5_1_7 [본문으로]

+ Recent posts